세계가 탐내는 광물을 가진 한국?

대한민국은 경제 대국 중에서도 보기 드문 자원 빈국으로 꼽힌다. 석유도, 천연가스도 풍부하지 않아 늘 해외 수입에 의존해야 했다. 그래서 한국이 세계가 탐내는 광물을 가진 나라라는 사실은 의외다. 최근 들어 국제 시장이 술렁이는 이유 역시 한국 땅속에 묻혀 있는 바로 그 자원 때문이다.
세계적인 ‘전략 광물’
국제 정세가 불안할수록 무기와 첨단 기술에 쓰이는 광물의 가치는 치솟는다. 미사일과 포탄, 로켓 엔진부터 인공지능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심지어는 ‘인공태양’이라 불리는 핵융합 장치까지—이 광물 없이는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다. 미국과 중국이 앞다퉈 공급망을 쥐려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총아’ 텅스텐
그 주인공은 다름 아닌 텅스텐이다. 원소기호 W로 불리는 이 금속은 금속 중 가장 단단하고 녹는점이 가장 높다. 탄화텅스텐으로 가공하면 경도가 다이아몬드에 필적하고, 고온에서도 쉽게 변하지 않으며 밀도도 높아 다양한 분야에서 쓰인다. 말 그대로 4차 산업혁명의 ‘총아’이자, 국가 안보가 걸린 전략 물자다.
중국 독점 구조 흔들리다
하지만 문제는 공급 구조다. 미국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 세계 매장량 440만 톤 중 절반 이상이 중국에 집중돼 있으며, 공급량의 80% 역시 중국이 차지한다. 미·중 갈등이 심화되면서 미국은 중국산 의존도를 줄이려 하고, 중국은 희소 자원을 무기화하며 채굴량을 줄였다. 여기에 전쟁과 안보 불안이 겹치자 텅스텐 가격은 14년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다시 문 여는 한국 광산
한국 역시 전체 수요의 70%를 중국에 의존했지만, 역설적으로 이런 상황은 한국 내 잠들어 있던 광산을 다시 일깨웠다. 강원도 영월의 상동광산은 단일 광산으로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하며, 캐나다 알몬티 인더스트리가 채굴권을 확보해 상업 생산 재개를 준비 중이다. 매장량은 약 5,800만 톤으로 세계 정상급 수준이다. 경북 울진 쌍전광산(추정 매장량 약 800만 톤)도 생산 재개에 나서면서, 두 광산이 국내 수요의 절반가량을 채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전략이 필요한 시점
다만 외국 기업이 상당한 권리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은 아쉬운 대목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기회를 “국가 차원의 전략 광물 확보 전략을 재정비할 전환점”으로 본다. 자원 빈국이라 불렸던 한국이 이제는 총알도 막아내는 이 금속으로 생존 전략을 새로 써 내려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