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의 나라, 그런데 왜 IMF 망령이 소환됐나

영국은 런던을 세계 금융 중심지로 두고 있는 선진국이다. 금융 서비스업은 영국 GDP의 큰 축을 차지하며, ‘금융의 나라’라는 이미지는 오랫동안 세계 경제에서 영국을 상징해왔다. 유럽연합 탈퇴 이후에도 영국은 여전히 글로벌 자금이 오가는 핵심 허브로 평가받아왔다.
그런데 최근 들어 정반대의 뉴스가 쏟아지고 있다. 영국의 장기 국채 금리가 1998년 이후 최고 수준(30년물 5.6~5.75%)으로 치솟고, 파운드화는 흔들리고 있다. 일부 언론은 1976년 IMF 구제금융 사태를 떠올리며 “역사가 반복되는 것 아니냐”는 불안을 자극한다. 그러나 IMF와 주요 경제학자들은 실제 개입 가능성은 낮다고 선을 긋고 있으며, 오히려 과도한 공포심리 자체가 위기를 증폭시키고 있다고 지적한다.
선진국 경제의 민낯: 흔들리는 성장과 불안한 사회

재정적으로 영국은 벼랑 끝에 서 있다. 고금리로 국가 부채 상환 부담이 폭증했고, 재무부는 긴축 재정안을 검토하고 있다. 건설업은 8개월 연속 위축돼 팬데믹 이후 최악의 불황을 맞이했다. 소비와 투자 심리는 꽁꽁 얼어붙으며 실물경제 전반의 냉각이 뚜렷하다.
사회적 균열도 심화되고 있다. 저소득층은 생활고에 시달리며 범죄에 노출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반대로 부유층은 고세율과 불안정한 경제 환경을 이유로 영국을 떠날 준비를 한다. 양극화의 충격은 중산층에 집중되며 사회 불안으로 이어지고 있다. “선진국 영국”이라는 타이틀과 현실의 괴리가 더욱 커지고 있는 것이다.
위기 탈출의 조건: 개혁 없이는 답 없다

IMF는 최근 보고서에서 영국의 성장률 전망을 소폭 상향 조정했다. 그러나 동시에 “재정 건전성과 구조 개혁의 병행”을 강하게 주문했다. 노동시장 유연화, 생산성 제고, 에너지 전환 정책은 장기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과제로 꼽힌다.
영란은행(BoE)도 “경제가 연착륙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긍정적인 메시지를 내놓고 있다. 하지만 고령화로 인한 복지 지출, 브렉시트 후유증, 글로벌 금리 환경이라는 3중 압박을 풀지 못한다면 위기는 언제든 현실로 닥칠 수 있다. 금융의 나라 영국이 과연 이번 시험대에서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가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