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 후유증, 영국 GDP 4% 증발… 국민도 등을 돌렸다

8년 전, “EU 탈퇴로 다시 위대한 영국을 만들자”던 구호는 이제 “잘못된 선택이었다”는 한숨으로 바뀌었다. 2016년 브렉시트(Brexit)를 선택했던 영국이 지금, 경제적 침체와 국민적 후회 속에 흔들리고 있다. 최근 영국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56%가 브렉시트는 ‘잘못된 결정’이었다고 답했다. 찬성(51.9%)이 근소하게 앞섰던 2016년 국민투표와는 정반대 결과다. 국민 10명 중 절반 이상이 “그때로 돌아간다면 다른 선택을 하겠다”고 말하는 이유는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냉정한 현실 때문이다.
경제 전문가 조현승 박사는 유튜브 ‘경제 원탑’에서 “브렉시트는 영국 경제의 구조적 침체를 불러왔다”고 지적했다. 영국 예산책임처(OBR)에 따르면 EU 탈퇴로 인해 영국의 무역량은 15% 감소, 장기 GDP는 EU 잔류 시 대비 4%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단 4%지만, 저성장이 고착된 영국에겐 치명적이다. 최근 1% 성장에 머물고 있는 영국 경제에서 ‘4% 감소’는 사실상 수년치 성장분이 통째로 사라지는 수준이다.

금융의 심장 런던도 타격을 피하지 못했다. 브렉시트로 금융 상품의 EU 역내 자유 거래가 막히면서, 런던 증권가의 국제적 위상은 예전 같지 않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경기 회복 속도도 EU 회원국보다 훨씬 느리다. 물류 통관 절차가 복잡해지고, 무역 협정이 단절된 탓이다. 이른바 **‘섬나라 고립형 경기침체’**가 현실이 된 셈이다.
서민들의 삶은 더 혹독하다. 영국은 식량 수입 의존도가 높아 브렉시트 이후 물가 상승의 직격탄을 맞았다. 식품 가격이 폭등하면서 ‘애그플레이션(agflation)’—식량 물가가 주도하는 인플레이션—이 일상화됐다. 식료품점에서 빵 한 덩어리, 우유 한 병이 체감 경기의 상징이 됐다. 유니세프가 구호 물자를 영국에 지원하는 초유의 상황이 벌어졌고, 런던과 맨체스터 거리엔 노숙 아동이 다시 늘고 있다. ‘브렉시트의 대가’는 통계가 아니라 생존의 문제로 바뀐 셈이다.

조 박사는 “EU 복귀는 최소 5~10년 내 불가능하다”고 단언한다. 영국 내부에서는 다시 EU에 들어갈 경우 분담금과 규제 복귀에 대한 반감이 크고, EU 또한 영국의 재가입을 ‘선례’로 만들지 않기 위해 까다로운 조건을 내걸 가능성이 높다. 브렉시트는 단절이 아니라 스스로 문을 닫아걸어버린 결정이었던 것이다.
설상가상, 영국은 GDP 대비 부채 비율이 100%를 넘는 고부채 국가가 됐다. 전통 금융기업인 HSBC·바클레이스 등은 여전히 구경제 중심에 머물러 있고, 새로운 성장 동력은 보이지 않는다. 제조업 기반은 붕괴됐고, 스타트업과 첨단 기술 산업에서도 EU와의 교류 단절로 경쟁력을 잃었다.
한때 ‘대영제국의 부활’을 외쳤던 브렉시트는 이제 ‘고립된 섬의 실수’로 기록되고 있다. 남은 건 더 비싸진 물가, 줄어든 일자리, 그리고 국민의 후회뿐이다.
- 최근 약물 끊은 유명 보디빌더의 몸에 생긴 충격적인 변화
- 우리가 알고있는 춘향전은 잘못되었다…알고보니 고전 막장인 춘향전
- 탈북 여대생들이 서울 길거리 걷다 갑자기 겁먹은 놀라운 이유
- 미국이 위험하다…결국 미국은 이 세가지로 스스로 무너지게 된다
- 500조원 달라는 미국 요구에…李정부 액수 깍고 8년 분납 타협한 듯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