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도적으로 잘못된 질문이 만든, 가스라이팅

최근 여론조사에서 대부분의 한국 MZ 세대들은 통일을 원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보며 한국 정세에 정통한 데이비드 강 교수(美USC 한국학연구소장)는 한 인터뷰에서 “한국 여론조사 기관들은 ‘통일을 원하느냐’는 질문을 멈춰야 한다. 그건 잘못된 질문이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이유를 덧붙였다. “당신 월급의 20%를 평생 통일 비용으로 낼 의향이 있냐고 묻는다면, 누구도 ‘예’라고 대답하지 않는다.
하지만 “만약 북한이 붕괴한다면, 그 땅은 누구의 것이 되어야 하냐?”고 물으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일본? 중국? 남한? “100%가 ‘남한’이라고 답할 것이다.” 같은 결과에 대한, 전혀 다른 각도의 이 질문은, 한국 사회가 원하던, 원하지 않던 맞닥 뜨리게 가장 현실적인 접근이다.
그는 통일에 대한 인식 자체가 이미 왜곡돼 있음을 꼬집는다. 한국 사회는 통일을 ‘해야 할 일’이나 ‘받아들여야 할 일’이 아니라 ‘돈이 드는 옵션’으로 취급한다. 이에 데비비드 강 교수는 “지정학의 냉정한 법칙 앞에 통일은 선택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그런 적도 없다”고 강조한다. 북한이 붕괴하는 순간, 주변 강대국들은 이해관계 속에서 순식간에 달려들 것이 뻔하다.
중국은 ‘완충지대’를 잃지 않으려 군사적으로 움직일 것이고, 미국과 일본은 동북아 세력 균형을 명분으로 개입할 것이다. 그때 한국이 머뭇거리는 순간, “한반도 전체가 한국의 것”이라는 단순한 상식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 그는 단호하지만 걱정 스럽게 말을 이었다. “한국의 젊은 세대는 북한을 같은 민족의 나라로 인식하지 않는다. ‘어딘가 북쪽의 문제’로만 여긴다.”
그의 말은 불편하지만 현실적이다. 통일은 민족의 만남 같은 감성적 구호가 아니라, 국가의 정체성과 생존 전략의 문제다. ‘북한을 원하느냐’가 아니라, ‘북한이 사라졌을 때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가 진짜 질문이다. 그 답을 준비하지 않은 사회는, 결국 다른 누군가의 선택에 끌려다니게 된다.
한국 사회는 오랫동안 통일의 비용만을 계산해왔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비용’이 아니라 ‘방향’이다. 북한이 무너지는 순간, 지도 위 경계선이 지워진 그 빈자리를 누가 채울 것인가 이다. 남한이 감정과 이념에 빠져 아무 준비를 하지 않는다면, 그 자리를 중국이, 혹은 일본이 대신 차지할지도 모른다. 역사는 그런 공백을 기다려주지 않는다. 그 때는 돈이니 이념이니가 아니라 대한민국 자체의 존립이 위협 받을 수 있다.
- 스타벅스 다음 업계 2위인데…메가커피 추락이 이제 시작인 이유
- 호날두, 메시보다 재산이 더 많은 세계 1위 부자 축구 선수
- 중국이 APEC에서 한국과 선물 교환한 내용을 일부러 보도안한 이유
- 절친이던 이소라와 이영자가 2008년 이후 지금까지 절교하게 된 사건
- 넷플릭스와 디즈니 작품들 다 이기고 1위한 엄청난 19금 한국 신작 드라마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