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가 우리나라의 보물이 된 사연
국립중앙박물관 2층 기증유물전시관에서는 특별한 보물 하나가 방문객들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바로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보물 제904호)다.

이 투구는 단순한 유물을 넘어, 올림픽 정신과 민족의 자긍심, 그리고 한 개인의 숭고한 애국심이 깃든 상징적인 존재다. 기원전 6세기에 제작된 이 투구가 어떻게 머나먼 이국땅, 대한민국의 보물이 되었을까?
올림피아에서 베를린으로: 투구의 기원과 손기정 선수

투구의 이야기는 기원전 6세기, 고대 그리스 도시 국가 코린트에서 시작된다. 이 투구는 올림피아 제우스 신전에서 승리를 기원하고 신에게 감사를 표하기 위해 봉헌된 것으로 추정된다. 1875년, 독일의 고고학자 에른스트 쿠르티우스가 이끄는 발굴팀에 의해 제우스 신전에서 발굴되면서 세상에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시간이 흘러 1936년, 제11회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일제강점기 조국의 이름으로 뛸 수 없었던 손기정 선수가 2시간 29분 19초라는 당시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을 차지했다. 올림픽 조직위원회는 마라톤 우승자에게 부상으로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를 수여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IOC(국제올림픽위원회)의 아마추어리즘 규정과 일본 제국의 방해로 인해 손기정 선수에게 전달되지 못하고 베를린 박물관에 보관되었다.
40년의 기다림, 그리고 조국으로의 귀환

해방 후, 1975년에 손기정 선수는 우연히 앨범을 정리하던 중 베를린 올림픽 기념 사진첩에서 투구의 존재를 확인하고, 자신이 받아야 할 부상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는 투구의 반환을 위해 백방으로 노력했고, 독일 교포 노수웅 씨의 헌신적인 도움으로 투구의 행방을 찾을 수 있었다. 당시 투구는 서베를린의 샤를로텐부르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었다.
하지만 박물관 측의 반환 거부로 어려움을 겪던 중, 그리스 브라디니 신문사의 도움으로 투구는 마침내 1986년, 베를린 올림픽 50주년을 기념하여 손기정 선수에게 전달되었다. 50년 만에 고국의 품으로 돌아온 것이다.
“이 투구는 개인의 것이 아닌 민족의 것”: 보물 지정과 국립중앙박물관 기증
손기정 선수는 투구를 돌려받은 후 “이 투구는 개인의 것이 아니라 민족의 것”이라며 1994년 대한민국에 기증했다. 정부는 그의 숭고한 뜻을 기려 투구를 보물 제904호로 지정했고,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되어 많은 이들에게 감동과 영감을 주고 있다.
고대 그리스 투구, 그 이상의 의미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는 단순한 외국 유물이 아니다. 일제강점기 민족의 설움을 딛고 세계 정상에 선 손기정 선수의 투지와 용기, 그리고 조국에 대한 헌신을 상징하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또한, 이 투구는 문화재를 통해 민족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미래 세대에게 역사를 올바르게 알리는 교육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국립중앙박물관은 기증 I실에 “나눔의 서재”라는 복합 문화 공간을 조성하여, 방문객들이 기증된 문화재를 감상하며 휴식을 취하고, 기증과 관련된 다양한 아카이브 자료를 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기증 문화의 가치를 확산시키고, 더 많은 이들이 문화유산 보존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장려하고 있다.
손기정 선수의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는 단순한 유물을 넘어, 역사의 굴곡과 한 개인의 숭고한 정신이 깃든 소중한 보물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을 방문하여 이 특별한 투구를 직접 마주하고, 그 속에 담긴 깊은 의미를 되새겨보는 것은 어떨까.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