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에도 중도층 확장에 실패중인 국민의힘의 상황

최근 발표된 여론조사 결과,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2주 연속 하락하며 취임 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 역시 7개월 만에 40% 선이 무너지며 국민의힘과의 격차가 오차범위 내로 좁혀졌다.
흥미로운 점은, 야당인 국민의힘 역시 이러한 지지율 하락세 속에서 마냥 웃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광복절 특별사면 논란, 주식 양도세 논란, 그리고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 동시 수감으로 인한 정치적 부담과 더불어, 국민의힘이 중도층의 지지를 크게 잃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국민의힘의 중도층 지지율 하락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특히,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3년 2개월 동안 국민의힘 중도층 지지율은 37%에서 12%로 25%포인트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준석 전 대표 축출, ‘바이든-날리면’ 논란, 이태원 참사, 윤·한 갈등, 김건희 여사 명품백 논란, 그리고 최근 전한길 씨 등장과 강성 보수화 논란 등 일련의 사건들이 중도층 유권자들에게 실망감을 안겨주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중도층이 사안 자체뿐만 아니라 문제에 대한 정치권의 대처 방식과 태도에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지적한다. 국민의힘이 책임 회피에 급급한 모습을 보이거나, 당내 강성 보수화 흐름이 심화되면서 원칙과 합리성을 중시하는 중도층의 인내심이 한계에 다다른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내부 분위기 역시 중도층 확보에 어려움을 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당 대표 경선 과정에서 ‘탄핵 찬성파(찬탄파)’와 ‘탄핵 반대파(반탄파)’ 간의 대립이 격화되고 있으며, 특정 후보를 지지하는 과정에서 강성 지지층의 목소리가 커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전당대회 규칙이 책임당원 투표 80%, 국민 여론조사 20%로 결정되면서, 당심에 더 무게가 실리는 구조는 강성 지지층의 영향력을 더욱 확대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또한, 전 국민의힘 당사 압수수색 시도와 관련하여 당이 ‘정치 탄압’이라며 강하게 반발하는 모습은 중도층에게 오히려 부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민의힘은 이재명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이라는 반사이익을 기대하기 어려운 처지에 놓여 있다. 중도층의 이탈이 심화되고 당내 기반마저 흔들리는 국민의힘이 향후 민심을 어떻게 다시 얻어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