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시의 초대형 인공 구조물 ‘빅트리’가 흉물로 전락한 사연

경남 창원시에 위치한 초대형 인공 구조물 ‘빅트리(Big Tree)’가 싱가포르의 유명 관광지 ‘가든스 바이 더 베이’의 슈퍼트리를 벤치마킹하여 야심 차게 조성되었으나, 막대한 예산 투입에도 불구하고 기대 이하의 결과물로 시민들의 거센 비판과 조롱거리가 되고 있다.
꿈과 현실의 괴리: 빅트리 조성 과정의 문제점

총 344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 빅트리는 당초 싱가포르 슈퍼트리처럼 40~60m 높이에 인공나무와 다양한 시설을 갖춘 랜드마크로 기획되었다. 그러나 설계 변경 과정에서 안전 문제 등을 이유로 상층부에 설치될 예정이었던 20m 높이의 메인 인공나무가 제외되고, 대신 작은 인공나무 몇 그루만 듬성하게 설치되면서 원래의 디자인 콘셉트와는 거리가 먼, 마치 ‘드럼통’이나 ‘굴뚝’을 연상시키는 모습으로 완성되었다.
이러한 외형 변화 과정에서 시민들의 의견 수렴이나 투명한 정보 공개가 부족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특히, 설계 변경에 대한 심의 과정에서 전문가들의 회의적인 시각과 우려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최종 결과물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는 공공사업 추진 과정에서의 행정 절차 미흡과 시민 소통 부재라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완성된 빅트리의 모습은 ‘괴상하다’, ‘흉물스럽다’, ‘탈모 트리다’, ‘드럼통 같다’는 등의 부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시민들의 큰 실망감을 안겨주고 있다. 창원시는 이러한 비판에 대해 시설을 임시 개방하여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보완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으나, 이미 완료된 공정률과 설계 변경의 어려움으로 인해 근본적인 개선이 가능할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빅트리 논란에 대한 창원시의 대응 및 향후 과제

창원시는 시민들의 비판과 실망감에 대해 개선 의지를 표명하고, 8월 4일부터 17일까지 빅트리를 임시 개방하여 시민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장기적인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향후 공공조형물 사업 추진 시에는 시민 참여와 전문가 자문이 실질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사업은 민간공원 조성 특례사업으로 진행되었으며, 민간사업자가 공원 시설을 기부채납하고 아파트 건설로 수익을 얻는 구조였다. 이 과정에서 돈이 되는 아파트 사업은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지만, 공공시설인 빅트리의 부실은 시민들의 불만을 증폭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창원시는 이번 빅트리 논란을 계기로 공공사업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강화하고, 시민들의 의견을 경청하며 신뢰를 회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