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어묵 1개의 3,000원 가격 논란

최근 부산의 한 유명 관광지에서 어묵 꼬치 하나를 3,000원에 판매하는 노점상이 포착되어 ‘바가지 요금’ 논란이 일고 있다. 이는 부산의 대표 먹거리인 어묵의 가격을 두고 관광객과 상인 간의 입장 차이가 드러난 사례로, 국내 여행지 전반의 물가 관리와 상인들의 양심에 대한 경종을 울리고 있다.
지난 18일 유튜브 채널 ‘투깝이’에 공개된 영상에서는 부산 기장군 해동용궁사 인근 노점에서 어묵 가격을 묻자 “3,000원”이라는 답변을 받는 장면이 담겼다. 심지어 “한 개에 3,000원”이라는 명확한 답변과 함께, 옆에 있던 핫도그 가격이 4,000원이라고 알려져 놀라움을 더했다. 유튜버는 “어묵 맛은 특별할 게 없고 그냥 평범한 어묵 맛”이라고 평가하며, 이는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는 큰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른 노점에서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어묵 1개에 3,000원이라는 가격에 대해 상인은 “어묵 자체가 다르다”며 ‘고급 어묵’임을 강조했지만, 유튜버는 “너무 비싸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영상이 공개되자, 시청자들은 “양심이 없다”, “뭘 넣었길래 3,000원이냐”며 비판적인 댓글을 쏟아냈다.

부산은 예로부터 어묵의 본고장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950년대부터 어묵 공장이 들어서며 발전해왔고, 삼진어묵, 고래사어묵 등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유명 브랜드들이 있다.
실제로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부산의 다양한 어묵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으며, 꼬치 어묵의 경우 10개입에 3,000원대부터 시작하여 40개입에 17,000원대까지 가격대가 다양하다. 이는 관광지 노점에서 판매되는 3,000원이라는 가격이 일반적인 시세보다 훨씬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일부 네티즌들은 가격 담합 가능성을 제기하며 관할 지자체에 민원을 제기했으나, 지자체는 “음식 판매 가격은 가게 자율이며 강제할 수 없다”는 원론적인 답변을 내놓았다.

이번 어묵 바가지 논란은 최근 국내 여러 관광지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바가지 요금’ 문제의 연장선상에 있다. 속초 오징어 난전의 터무니없는 가격, 여수 식당의 음식 재사용 및 불친절 논란, 제주 렌터카의 불합리한 취소 정책 등은 관광객들에게 실망감을 안겨주며 국내 여행 이미지에 타격을 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단순히 특정 지역이나 상품의 문제가 아니라, 관광 산업 전반의 신뢰도와 직결되는 사안이다. 상인들의 양심적인 영업과 더불어, 지자체의 적극적인 관리 감독 및 제도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尹 재임시절 대통령실에 매주 1톤 탑차가 배달한 尹이 좋아한 ‘이것’들
- 고깃집 알바하다 스카웃 되어 아시아 최고의 치어리더된 한국 여고생
- 돈 많다고 자신하더니…돈 떨어진 사우디가 한국에게 넘기려는 국제 행사
- 5·18민주화운동 北개입설 계속 주장한 지만원…결국 크게 망했다
- 체코 원전 사태가 李대통령 탓이라는 국민의힘 의원의 논리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