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한 장이 불러온 파장

최근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이 문재인 전 대통령과 경남 양산 평산마을에서 만난 사진을 공개하자 정치권이 술렁이고 있다. 추석을 앞두고 덕담을 나누는 자리였지만, 사진 공개 직후 “선 넘은 행보”라는 비판이 여야를 막론하고 쏟아졌다. 특히 이 고문이 과거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를 지지했던 전력이 다시 도마에 오르면서 파장은 더 커졌다.
민주당 내부의 격앙된 반응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는 강한 반발이 이어졌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SNS를 통해 “문 전 대통령이 오래전부터 이재명 대통령을 못 잡아먹어 안달 난 이 전 총리를 만나면 정치적 해석이 불가피한데, 굳이 환대하는 사진을 공개할 이유가 있었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문 전 대통령을 직격했다.
고민정 의원도 “다선 원로 정치인의 의도된 사진 정치”라며 “누군가에게 기대지 않고는 정치하기 힘들다는 자기 고백”이라고 비판했다. 친명(친이재명)계를 중심으로는 “수박들의 정모”라는 원색적인 표현까지 등장했다. 민주당 영광지역위원회 관계자는 “이 고문은 이미 호남에서 ‘민주당 가치 배신자’로 각인됐다”며 싸늘한 반응을 보였다.
이낙연, 왜 비판받나?

이낙연 고문이 집중적인 비판을 받는 이유는 뚜렷하다. 그는 대선 후보 경선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맞붙으며 ‘앙숙 관계’로 굳어진 인물이다. 대선 국면에서는 “괴물 독재 국가를 막기 위해 김문수가 필요하다”며 국민의힘 후보를 지지해 민주당 지지층을 충격에 빠뜨렸다.
최근에도 그는 “개인 리스크가 국가 리스크로 번졌다”며 이재명 대통령을 강하게 비난했다. 이런 상황에서 문 전 대통령과의 회동은 “정치적 야합” “보여주기식 쇼”라는 해석을 피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구나 문 전 대통령이 윤석열 전 대통령 석방 당시 SNS에 “뜻밖의 행운”이라는 글을 올렸다가 삭제한 전력이 있어, 이번 만남을 둘러싼 의심의 시선은 더욱 짙어졌다.
엇갈리는 시선…정치적 셈법은?

정치권 해석은 분분하다. 일각에서는 이번 만남을 이 고문이 정치적 재기를 모색하는 행보로 본다. 그러나 호남 민심이 이미 그를 ‘민주당 가치 배신자’로 규정한 상황에서 회동이 민심 회복에 기여할지는 불투명하다. 오히려 친명-비명 간 갈등을 재점화하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이 고문 측은 “추석 인사일 뿐 정치적 의미는 없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지만, 정치인의 행보는 불가피하게 정치적 맥락 속에서 해석된다. 일부에서는 이 고문이 보수 진영과 연대해 ‘빅텐트’ 구성을 꾀한다는 분석까지 나온다. 그러나 그가 과거 ‘계엄 세력’과 손잡을 수 있음을 시사한 발언은 호남 민심을 더욱 냉각시켰다.
엇갈리는 전망 속, 이낙연의 선택은?
정치권의 시선이 엇갈리는 가운데, 이낙연 고문이 향후 어떤 선택을 내릴지가 주목된다. 분명한 것은 이번 논란이 그의 정치적 입지를 한층 좁혔다는 점이다. 이언주 최고위원이 “국민이 이낙연을 다시 선택할 일은 결코 오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한 것처럼, 그는 정치적 시험대 위에 올랐다.
이번 논란은 한국 정치의 고질적 문제점도 다시 드러냈다. 이념과 지역주의의 틀에 갇혀 정쟁만 되풀이하는 정치권의 모습은 국민 불신을 키우고 있다. 이낙연 고문과 문재인 전 대통령, 더불어민주당 모두 이번 사태를 통해 진정으로 국민을 위한 정치가 무엇인지 숙고해야 할 시점이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