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 논란이 불러온 후폭풍

중국 소셜 미디어에서 디즈니+ 오리지널 시리즈 북극성이 거센 논란의 중심에 섰다. 극 중 전지현이 맡은 대통령 후보 서문주 역의 대사가 문제의 발단이었다. “중국은 왜 전쟁을 선호할까요? 핵폭탄이 접경지대에 떨어질 수도 있는데”라는 대목이 편집돼 온라인에 확산되면서 중국 네티즌들의 강한 반발을 불러온 것이다.
중국 네티즌들은 해당 대사가 중국을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현실과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드라마 속 중국 동북 다롄 장면이 실제가 아닌 홍콩에서 촬영된 사실도 비판 대상이 됐다. 특히 제작진이 지저분한 판자촌을 어두운 색감으로 담아내 다롄의 도시 이미지를 훼손했다는 불만이 이어졌다.
중국 내 반응과 한한령 재점화

중국을 상징하는 별 다섯 개 문양이 새겨진 카펫이 밟히는 장면과 극 중 악역이 중국어로 대화하는 설정은 중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강화한다는 지적을 낳았다. 더 나아가 전지현이 중국 고대 시인 이백의 시구를 읊는 장면에서 발음을 의도적으로 왜곡했다는 주장까지 제기됐다.
웨이보를 비롯한 중국 소셜 미디어에서는 “이런 드라마가 방영되는 상황에서 한한령을 해제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일부에서는 한국 드라마 전반에 대한 불매 움직임까지 거론되며 감정적 반응이 확산되는 모습이다. 드라마의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는 반론도 있었지만, 거대한 여론의 흐름 속에서는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
광고계로 번진 불똥

논란의 불씨는 결국 광고계로 번졌다. 전지현이 활동하던 화장품, 시계 브랜드 등이 잇달아 광고 계약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중국 시장에서의 광고 모델 활동에 제동이 걸린 셈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사태가 단순한 드라마 논란을 넘어 배우 개인의 브랜드 가치에도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아시아 전역에서 오랜 기간 ‘한류 스타’의 상징으로 자리해온 전지현에게 이번 사태는 예상치 못한 위기로 작용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단순한 대사의 맥락이 정치적 민감성에 부딪힌 결과라는 평가가 나오지만, 광고 시장의 반응은 냉혹하다. “드라마 한 장면이 향후 활동 전반을 위축시킬 수 있다”는 분석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