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도 놀랐다… 판사 가족 사건에만 쏟아진 ‘징역 5년’ 중형

판결이 달라졌다. 전세 사기로 피해자가 수없이 울부짖을 때는 집행유예가 남발되던 법정이, 피해자가 판사 가족이 되자 돌연 태도가 바뀌었다. 30대 여성이 판사 가족의 전세금 1억 원을 가로챘다가 붙잡혔고, 법원은 이 사건에서 이례적으로 징역 5년을 선고했다. 수많은 피해자들이 “네 가족이 당해도 이런 판결 내리겠냐”라며 분노를 터뜨리던 말이, 아이러니하게도 현실이 되어버린 것이다.

전세 사기는 지난 몇 년간 한국 사회를 뒤흔든 집단 범죄였다. 수많은 세입자가 삶의 터전을 잃고 거리로 내몰렸지만, 법정은 늘 국민 정서와 반대되는 판결을 내놨다. 수억 원 피해에도 고작 1~2년, 심지어 집행유예 판결이 흔했다. 피해자들은 “법원이 범죄자 편”이라며 절규했지만, 돌아오는 건 차가운 판결문뿐이었다. 그런 법원이 판사 가족이 피해자가 된 순간, 기준은 순식간에 달라졌다.

법원은 이번 사건에서 징역 5년을 선고했다. 피해 금액은 1억 원이었지만, 판사 가족이 피해자라는 사실이 결정적이었다. 문제는 그 형량이 전례와 비교해 터무니없이 무겁다는 점이다. 검찰조차 “전세 사기는 나쁜 범죄지만, 통상 1억 원 피해 규모에서는 징역 10개월에서 1년 6개월 선고가 일반적이었다”며 항소장을 제출했다. 평소에는 솜방망이라 욕먹던 검찰이 이번에는 “징역이 너무 과하다”며 오히려 형량을 낮추자고 나선 것이다.
이 상황은 국민에게 아이러니로 다가왔다. 법원이 언제나 가볍게만 다루던 전세 사기에서, 판사 가족이 등장하자 단번에 무거운 판결이 내려졌고, 검찰은 형평성을 맞추겠다며 형량을 줄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기묘한 장면이 연출됐다. 결국 남는 질문은 하나다. 왜 판사의 가족이 피해자일 때만 기준이 바뀌는가. 평범한 서민이 피해자였다면 이런 판결이 가능했을까.

수많은 전세 사기 피해자들은 이번 사건을 보며 분노와 허탈감을 동시에 토해내고 있다. 똑같이 인생을 송두리째 빼앗긴 입장이지만, 판사 가족이라는 이유로만 중형이 내려진다는 건 법원의 공정성 자체를 부정하는 장면으로 다가온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전세 사기 판결이 아니라, 법원이 스스로 만든 불공정의 민낯을 국민 앞에 드러낸 사건으로 기록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