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의 2025년 보고서에서 평가한 북한군의 실제 군사력 수준

26일 유튜브 채널 ‘디펜스 코드’에서는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출신이자 한국에서 10년 거주한 미국인 유튜버 미제 조셉을 초청해 실제 미국 국방정보국의 보고서에서 평가한 북한군의 실제 군사력 수준 내용을 소개해 눈길을 모았다.
북한 군사력의 현황과 한계
최근 발표된 미국 국방정보국(DIA, Defense Intelligence Agency)의 ‘2025 세계위협평가'(2025 Worldwide Threat Assessment)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핵무기와 장거리 미사일 능력으로 인해 미국 본토까지 위협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안보 위협으로 꼽았다. 이러한 능력은 미국으로 하여금 북한과의 전쟁 시 발생할 수 있는 핵 공격 가능성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하게 만든다.
하지만 재래식 전력의 경우, 북한이 보유한 장비의 대다수가 소련으로부터 넘겨받은 40~50년 된 노후 장비라는 점이 지적된다. 이는 한국의 K2 전차와 같은 현대식 장비와 비교했을 때 전투력에서 큰 격차가 있으며, 잦은 고장과 수리 능력 부족 또한 심각한 문제로 제기된다.
또한, 병사들의 훈련 수준 역시 한국이나 미국과 비교했을 때 현저히 낮다는 평가다. 북한은 국제사회와의 연합 훈련 기회가 없어 실전 경험과 체계적인 훈련이 부족하며, 이는 군사력 운용 능력의 저하로 이어진다.
특수부대 및 해킹 능력의 잠재적 위협

재래식 전력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북한 특수부대의 능력은 경계해야 할 부분으로 지목된다.
이들은 해킹, 컴퓨터 분야 등 특정 분야에서 높은 전문성을 보여 왔으며, 군사력 측면에서도 특수부대의 역량은 러시아, 중국, 미국, 한국의 특수부대와 동등한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따라서 이들이 한국에 침투하여 특수 작전을 수행할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막아낼 수 있는지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또한, 북한의 해킹 능력은 코인 업계 등에서도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북한은 전문 해커 조직을 통해 막대한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이는 국가 경제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제2차 한국전쟁 시나리오와 미국의 대응 전략

만약 제2차 한국전쟁이 발발할 경우, 미군과 한국군은 다음과 같은 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공권 및 제해권 장악
공중에서는 전투기 확보를 통해 작전을 통제하고, 해상에서는 한국의 해군력을 동원하여 북한의 해상 이동 및 보급을 차단하여 경제를 마비시키는 것이 우선 과제입니다.
북한 포병 및 미사일 무력화
서울 등 장거리 포병의 공격 위협을 제거하고,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통해 북한의 미사일 공격으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지상 작전
제공권과 제해권을 확보하고 북한의 포병 및 미사일 위협을 제거한 후, 산악 지형과 지하 통로 등 북한의 지형적 이점을 고려하여 신중하고 전략적으로 지상 병력을 투입해야 합니다. 핵무기 사용 시나리오 또한 고려해야 할 중요한 변수입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북한 관련 외교
트럼프 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친분을 과시하는 행보에 대해서는, 그가 독재자로부터 인정을 받고 싶어 하는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과거 미국 대통령들이 북한 지도자를 만난 전례가 없다는 점에서, 자신이 특별한 업적을 이루었음을 보여주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현재의 미중 및 북한과의 관계는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앞으로의 외교 관계 변화를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