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시장까지 이어진 성남시청의 불명예

성남시는 초대 시장부터 4대 시장까지 잇따라 뇌물죄로 징역형을 선고받으며 ‘부패 도시’라는 오명을 안고 있었다. 2011년 취임한 이재명 당시 성남시장 역시 이러한 불명예의 전철을 밟을지 모른다는 우려와 압박 속에서 집무를 시작했다. 취임 직후부터 수많은 민원인과 업자들이 독대를 요청했고, 일부는 직접 돈 봉투를 꺼내려는 상황까지 이어졌다.
봉투를 멈추게 한 천장의 렌즈

이 전 시장은 한 민원인이 봉투를 꺼내려다 시장실 천장의 CCTV를 보고 주머니에 다시 넣은 일화를 직접 전했다. 그는 “저를 1:1로 만나고 싶다는 사람이 아주 많았는데, CCTV를 설치한 이후 확 줄었다”고 설명했다. 단순한 방범이 아닌, 뇌물 유혹을 원천 차단하는 억제 효과가 발생한 것이다. 실제로 설치 후 시장실을 통한 부당한 시도는 크게 줄어들었다.
억울함을 피하기 위한 자구책

이 전 시장이 CCTV 설치를 결심한 데에는 또 다른 이유가 있었다. 업자가 검찰에서 “이재명 시장에게 얼마를 줬다”고 진술했을 때, 일부 사실관계가 달라졌지만 정작 ‘받지 않았다’거나 ‘돌려줬다’는 사실을 본인이 입증해야 하는 부담이 따랐다. 그는 당시 한명숙 전 총리 재판을 언급하며 “입증 책임의 벽을 실감했다”고 회고했다. 결국 CCTV는 단순히 외부의 뇌물 시도를 막는 장치이자, 억울한 혐의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한 방어 수단이었던 셈이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