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3년 만의 사죄, 왜장 후손이 무릎 꿇다

1592년 조선을 침략했던 일본 장수의 후손들이 433년 만에 우리 땅을 찾아 참회의 뜻을 밝혔다. 일본인 히사다케 소마(24)와 히로세 유이치(70)는 지난 10일 충북 옥천 가산사에서 열린 ‘광복 80주년 한일 평화의 날’ 행사에서 두 손을 모아 선조의 만행을 사죄했다. 가산사는 의병장 조헌 선생과 승병장 영규 대사의 진영이 모셔진 호국 사찰로, 국가보훈부가 이번 행사를 주최했다.
“선조의 잘못, 후손이 사죄합니다”

히사다케는 충청도를 유린한 왜군 5진 후쿠시마 마사노리 부대의 쵸소가베 모토치카의 17대손이며, 히로세는 모리 데루미츠 부대의 도리다 이치의 17대손이다. 두 사람은 금산 칠백의총을 참배한 뒤 가산사로 이동해 술을 바치고 고개를 숙였다. 히로세는 “임진왜란은 명백한 침략이었다. 선조의 잘못을 인정하고 진심으로 사죄한다”고 말했고, 히사다케는 “오늘의 사과가 미래 지향적인 한일 관계의 첫걸음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들은 참회(일본 후손), 화해(조선 후손), 평화(양국 후손)라는 글씨에 각각 서명하며 상징적인 화해의식을 함께했다.
참회에서 화해로, 그리고 평화로

가산사 주지 지원 스님은 “참회에는 사죄가, 화해에는 용서가 담겨 있다. 이를 통해 평화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행사에는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과 호사카 유지 광복 80주년 기념위원 등도 참석해 “이들의 용기와 사과가 양국의 화해와 우호 증진으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사죄를 마친 두 후손은 신채호 선생 묘소, 손병희 선생 생가, 독립기념관 등을 찾아 참회의 여정을 이어갔다. 400년 넘는 세월의 벽을 넘어, 참회와 용서, 화해의 손길이 한일 관계의 새로운 전환점을 열었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