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임에 넘어가면 여권 압수, 외출 금지…
고문·몸값 요구 등 비인도적 관리

캄보디아를 포함한 동남아 국가에서 활동하는 범죄 단체들이 한국 청년들을 끌어들여 보이스피싱 등 조직 범죄에 동원하는 충격적인 유인 수법과 악랄한 조직 관리 실태가 드러났다. 특히, 기존 피해자들이 생존을 위해 새로운 인물을 끌어들이는 ‘가해자’로 변모하는 잔혹한 악순환 구조가 확인됐다.
이들 단체는 “월 1천만 원 고수익 보장”이라는 미끼로 청년들을 유인했다. 유인책은 주로 자신을 신뢰하는 지역 후배나 친구의 동생에게 접근해 ‘캄보디아에 가면 큰돈을 번다’는 허위 정보를 퍼뜨렸다. ‘취업 박람회’나 ‘대규모 행사’ 등 그럴듯한 명목으로 현지로 불러들인 뒤 술자리를 마련해 경계심을 무너뜨렸다. 그러나 며칠 후부터는 상황이 바뀌어 청년들은 보이스피싱 등 범죄에 강제로 동원됐고, 스스로 피해자가 되지 않기 위해 또 다른 사람을 끌어들이는 구조에 내몰렸다.

조직의 내부 관리 방식은 감금과 다름없다. 여권을 빼앗고 외출을 금지하며, 실적이 저조하면 폭행과 고문이 뒤따랐다. 일부는 탈출을 시도하다 붙잡혀 고문을 당하거나 가족이 수천만 원의 ‘몸값’을 내야만 풀려나는 경우도 있었다. 대구지법 판결문에 따르면, 이들은 베트남·필리핀·국내에 사무실을 두고 한국인을 체계적으로 포섭했으며, 팀 단위로 활동하게 하고 모두 가명을 사용하도록 지시했다.
수사망을 피하기 위한 ‘보안 수칙’도 존재했다. 사무실 와이파이에 휴대폰을 연결하거나 국내 사이트에 로그인하는 행위가 금지됐고, 대화는 오직 텔레그램만 허용됐다. 검거 시에는 “스포츠 토토 광고를 했다”고 진술하도록 사전 교육까지 이뤄졌다.

이들은 개인정보 DB를 활용해 ‘월 1억 프로젝트’라며 허위 복권 투자 사기를 벌이기도 했다. “세계복권협회 전문가 그룹과 협약했다”, “원금 100% 보장, 수익률 300%”라는 말로 피해자들을 속여 200여 명으로부터 100억 원 이상을 편취했다. 법원은 관련 조직원 8명에게 징역 2~7년을 선고했다.
경찰은 이러한 범죄가 캄보디아뿐 아니라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으로 확산하고 있다고 보고, 출국 전 한국인 대상 안전 점검을 강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단순 고수익 알바 제안조차 범죄의 시작일 수 있다”며 경각심을 높여야 한다고 경고했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