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파리 공유 전동 킥보드 중단

파리에서 공유 전동 킥보드가 자취를 감췄습니다.
지난달 31일 프랑스 파리시는 전통 킥보드 대여 도입 5년 만에 중단한다고 밝혔는데요.
이로써 전동 킥보드 1만 5천 대가 9월 1일 자로 전부 사라지게 됐습니다.
프랑스 파리는 지난 2018년 유럽 도시로는 처음 전통 킥보드 공유 시장을 개방했습니다. 파리 곳곳에서는 전동 킥보드를 타고 다니는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었죠.
전동 킥보드는 주로 35세 이하의 젊은 층과 학생들에게 인기를 끌었습니다.
하지만 전동 킥보드는 도로 위의 골칫거리로 전락했는데요.
파리시에서 전동 킥보드를 퇴출하게 된 이유는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아무 데나 방치돼 도시 미관을 해친다는 것입니다.
지난 4월 파리시는 주민투표를 진행해 전동 킥보드 금지에 대한 찬반을 물었습니다. 투표율은 7.5%에 그쳤으나 스쿠터 금지를 원하는 비율은 90%에 육박했죠.
전동 스쿠터를 자주 이용해 온 시민들은 반발했는데요.
한 시민은 “파리에서 차로 움직이는 건 매우 어렵습니다. 자전거도 좋지만, 대신할 수는 없습니다. 잘못된 결정입니다.”라는 말을 남겼습니다.
이달고 파리 시장은 “전동 킥보드 비즈니스 모델은 10분에 5유로로 매우 비싸다”라며 “지속 가능하지 않으며 무엇보다도 많은 사고의 원인”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업체 직원은 “파리시에 공유 전동 킥보드가 지속 가능하고 실용적인 교통수단이라는 점을 설득하지 못했고, 유감스럽게도 서비스를 중단하게 됐습니다.”라고 전했죠.
② 자취 감추게 만든 이유

전동 킥보드는 파리에서 차량을 대체하는 교통수단으로 활발히 이용됐는데요. 앱을 사용해 간편하게 대여할 수 있으므로 시민들과 관광객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전동 킥보드 이용이 많아지면서 프랑스 200여 개 도시에서 전동 킥보드 대여가 매일 약 10만 건 이상 이뤄질 정도였는데요.
파리에서 전동 킥보드가 사라진 가장 큰 이유는 안전상의 이유 때문입니다.
지난 2021년 1월부터 8월까지 247건이던 전동 킥보드 사고 건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 30% 이상 늘었는데요. 사망자는 24명에 달했습니다.
전동 킥보드 운전자들이 교통 법규를 무시한 채 난폭 운전을 하거나 음주 운전, 주차 문제까지 문제점이 더욱 커졌는데요.
파리에는 전동 킥보드 대여를 반대하는 단체도 있습니다. 이 단체들은 전동 스쿠터 사고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대신하고 있는데요.
한 단체는 전동 킥보드 대여 반대에 “우리가 4년 넘게 싸워온 결과이다. 모든 파리지앵은 보도에서도, 길을 건널 때도 긴장된다고 한다. 그래서 반대표를 던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파리시는 무분별한 전동 스쿠터 활용에 세계 최강 수준의 규제를 도입했는데요.
사업자 수를 제한했으며 운행 속도를 추적하고 제한했지만, 논란은 여전히 계속됐습니다.
파리시는 공유 전동 스쿠터 서비스가 중단돼도 충분한 대중교통 수단과 확충된 자전거 도로망이 있어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전동 스쿠터 대신 자전거 대여 서비스가 늘어나고 전동 자전거 이용이 늘어날 가능성도 있는데요.
최근 몇 년 동안 파리의 이동 수단 중 자전거 이용률이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③ 유럽 전역 애물단지로 전략

파리뿐만 아니라 유럽 전역에서 전동 스쿠터는 애물단지로 전락했습니다.
이탈리아 정부는 전동 킥보드와 관련해 헬멧 착용과 번호판 부착 등 강한 규제에 나섰습니다.
지난 6월 이탈리아 당국은 전동 스쿠터 운전 중 휴대전화를 사용하다가 적발되면 운전면허를 취소하겠다고 발표했는데요.
또한 음주나 약물 투여 사실이 발각되면 무관용 원칙을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탈리아에서 전동 킥보드를 타기 위해서는 헬멧을 의무적으로 착용해야 하며 방향지시등을 갖춰야 합니다.
주요 고속도로나 혼잡 도로에서 전동 스쿠터를 타거나 임의로 주차하는 것도 금지되고 있죠.
독일에서도 전동 킥보드 문제가 심각합니다.

그렇다면 국내 전동 킥보드는 어떨까요?
국토교통부와 경찰청에 따르면 전동 킥보드 사고 건수는 2017년 117건에서 2021년 1,735건으로 약 15배 증가했습니다. 2018년 이후 사망자도 증가하는 추세인데요.
전동 킥보드는 면허가 없을 시 운행이 제한되고 1대에 여러 명이 탑승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는 사실상 단속이 어려운 실정인데요. 전동 킥보드를 타고 아찔하게 도로를 누비는 이용자들이 많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이들을 고라니에 빗댄 ‘킥라니’라는 표현이 등장하기도 했죠.
논란이 불거지자, 국토부는 지난 4월 전동 킥보드 대여 사업을 면허나 자격증이 있어야만 영업이 가능한 등록제로 바꾸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제대로 관리가 이뤄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끊이질 않죠.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