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 언급 발언, 정치권 공방으로 확산

조희대 대법원장이 국제 세미나에서 세종대왕을 언급하며 사법 공정성을 강조한 발언이 거센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그는 “세종대왕은 법을 왕권 강화를 위한 통치 수단이 아니라 백성의 권리를 보장하는 규범적 토대로 삼았다”는 취지로 강조했다. 실제로 이 발언은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2025 세종 국제 콘퍼런스’ 개회식에서 확인된 내용이다.
하지만 민주당은 즉각 반발했다. “세종대왕의 이름을 빌려 국민의 개혁 요구를 왜곡했다”며 “오만한 궤변”이라고 비판한 것이다. 사법 개혁을 둘러싼 정치적 긴장감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확인된 사실과 논란의 경계

이번 논란에서 분명히 확인된 것은 두 가지다. 첫째, 조 대법원장이 실제로 세종대왕의 사례를 들어 사법 공정성을 강조했다는 점. 둘째, 여당인 민주당이 이를 강하게 비판하며 사법 개혁 의제와 연결시켰다는 점이다.
그러나 그 외의 주장들은 불확실성이 크다. 일부에서는 조 대법원장이 과거 정치적 상황에서 미온적 태도를 보였다고 지적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구체적 자료는 공개되지 않았다. 특정 판사의 직권남용 의혹이나 헌법재판소 판결 개입 논란도 거론되지만, 조 대법원장이 직접 연루됐다는 증거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세종대왕이 법을 왕권 강화의 수단으로 삼았는지, 아니면 백성 중심의 제도로 발전시켰는지는 역사적 해석의 영역에 가깝다.
사법 개혁의 불씨

결국 이번 사안은 ‘확실한 사실’과 ‘정치적 해석’이 혼재된 논란이다. 팩트는 조 대법원장이 세종대왕을 언급하며 사법 공정성을 강조했다는 점, 그리고 민주당이 이를 즉각 문제 삼으며 공세에 나섰다는 것이다. 나머지는 해석과 의혹의 영역에서 뜨거운 논쟁만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다만 분명한 것은 이번 논란이 다시금 사법 개혁을 정치권 핵심 의제로 끌어올렸다는 점이다. “개혁의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진보 진영의 목소리와 “사법 독립을 지켜야 한다”는 보수 진영의 반발이 정면으로 충돌하면서, 조희대 대법원장의 한마디는 향후 개혁 국면의 불씨로 작동할 가능성이 크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