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출 수 없는 기록, 거짓 역사에 발목 잡힌 중국

중국의 동북공정, 그들이 스스로 판 함정에 빠졌다.
수년째 중국은 고구려와 발해를 ‘중국의 지방정권’이라 우기며 역사 왜곡의 선봉에 서왔다. “고구려는 중국사의 일부”라는 문장이 교과서에 버젓이 실리고, 그들의 국책 연구소는 이를 ‘학문적 정리’라 포장한다. 그러나 정작 이 허구를 뒤집는 결정적 증거가, 아이러니하게도 중국 외교부 기록 속에 남아 있다.
1958년, 모택동은 평양에서 온 북한 대표단을 접견했다. 그는 “당신들의 선조의 영토는 요하(遼河)를 경계로 했다. 지금은 압록강변까지 밀려왔다고 생각한다. 역사를 기술할 때 그 사실을 써 넣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 최고 지도자의 입에서 나온 이 한마디는, 고구려의 중심이 한반도였음을 인정한 셈이다. 당시 중국의 2인자였던 저우언라이 총리 또한 “역사는 왜곡할 수 없다. 조선은 중국의 속국이었다는 말은 터무니없는 소리”라 못 박았다.

이 발언들은 모두 중국 외교부의 공식 문서집, ‘외사공작통보(外事工作通報)’에 수록돼 있다. 즉 중국이 부정한다면, 그건 자신들의 외교 문건을 스스로 부정하는 꼴이 된다. 지금 중국이 내세우는 동북공정 논리는 모택동과 저우언라이의 말을 뒤엎는 자기모순의 덫에 걸린 셈이다.
고구려와 발해의 독자성을 입증하는 유물은 여전히 발굴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은 그 사실을 은폐하거나 공개를 지연시키며, “증거가 없다”는 논리를 되풀이한다. 그러나 진실은 오래 숨길 수 없다. 고분벽화의 필체, 토기의 문양, 묘제의 구조 — 어느 것 하나 중국 중원과 일치하지 않는다. 역사의 물증이 그들의 주장을 조용히 조롱하고 있다.

문제는 이 왜곡이 단순한 학문 논쟁이 아니라는 점이다. 중국은 동북공정을 통해 한반도 북부, 나아가 만주 일대를 자국 역사로 편입시켜 ‘영토 논리’를 강화하려는 의도를 감추지 않는다. 그러나 스스로 기록한 외교 문서를 부정하지 않는 한, 그들의 주장은 벽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역사는 조작의 도구가 아니다. 그들은 모택동의 말을 지울 수 있을까? 아니면, 그 말처럼 요하를 경계로 한 진짜 역사를 인정해야 할까. 중국의 동북공정은 이제, 자기들이 만든 기록 앞에서 딜레마에 빠졌다.
- 북한이 ‘신분’속여 글로벌 기업에 취업해 외화벌이하는 기막힌 방법
- 故 최진실딸 최준희가 수백억 유산을 훔친 범인으로 지목한 인물 정체
- 尹 부부를 위해서 해군 함정과 비행기까지 동원해 공수했다는 이것
- 삼성 이재용 회장의 월급을 확인해 봤더니…충격적인 액수였다
- 이재명 대통령 때문에 손발이 모두 묶여버렸다는 일본의 상황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