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억 과징금보다 무서운 건 신뢰의 붕괴?

메가커피의 성공은 너무 빨랐다. 2016년 첫 매장을 낸 이후 8년 만에 전국 4,000개 점포를 돌파하며 ‘가성비 커피’의 대명사로 불렸다. 그러나 이 폭발적인 성장 뒤에는 본사 중심의 불안한 구조가 있었다. 결국 그 균열이 터졌다. 최근 공정거래위원회는 메가커피 본사가 가맹점에 각종 비용을 부당하게 떠넘긴 혐의로 23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프랜차이즈 업계 전체를 통틀어 최대 규모의 제재다.
문제는 이 금액이 크고 작음의 문제가 아니다. 과징금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결정이 향후 집단 소송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공정위의 처분은 사실상 ‘유죄 판결’과 같은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피자헛, 미스터피자 등도 비슷한 과정을 거쳐 몰락의 길을 걸었다. 메가커피가 같은 수순을 밟지 않으리란 보장은 없다.

메가커피의 가맹점 구조는 커피 판매보다 가맹점 모집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에 가깝다는 지적이 많다. 본사는 가맹비, 인테리어, 로열티, 재료비, 광고비 등에서 수익을 얻는다. 문제는 이 구조가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점이다. 새 점포가 계속 생겨야 본사가 돈을 버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가맹 문의가 줄어드는 순간, 성장의 기반이 흔들린다. 이번 과징금으로 가맹 문의 감소는 불가피하다. ‘본사와 상생이 어렵다’는 인식이 퍼지면, 신규 창업자들은 발을 뗀다.
또 하나의 타격은 브랜드 신뢰도 하락이다. 공정위 제재 이력이 있는 기업은 향후 3년간 정부 인증이나 ‘상생 프랜차이즈’와 같은 공신력 있는 프로그램에서 제외된다. 이 여파는 단순한 이미지 훼손을 넘어 투자와 상장 심사 과정에서 직접적인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한다. 실제로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메가커피의 오너는 이미 사모펀드 매각 또는 IPO를 염두에 두고 있었으나 이번 사건으로 그 계획에 제동이 걸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업 실사 단계에서 ‘법 위반 이력’은 투자 가치 평가에 큰 감점 요인이 된다.

가맹점주 입장에서도 문제는 크다. 기프티콘 수수료 11%를 본사가 사전 협의 없이 떠넘기고, 재빙기·그라인더 등 장비를 시중가보다 최대 60% 비싸게 구입하도록 강제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계약을 위반하면 원재료 공급을 중단하거나 가맹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는 조항까지 있었다. 본사는 매출을 키워야 했고, 이를 위해 파트너를 ‘고객’이 아닌 ‘수익원’으로 본 셈이다.
이런 구조는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없다. 가맹점은 줄어들고, 본사의 평판은 추락한다. 결국 피해는 가맹점주와 소비자 모두에게 돌아간다. 브랜드를 신뢰할 이유가 사라지고, 시장은 다른 브랜드로 이동한다. 메가커피의 위기는 매출이 아니라 신뢰의 붕괴에서 비롯된 것이다.
‘가성비 커피’로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메가커피는 지금, 프랜차이즈 생태계의 오래된 문제를 압축한 거울이 되고 있다. 과징금은 숫자로 끝나지 않는다. 신뢰를 잃은 프랜차이즈는 다시 소비자의 선택을 받기 어렵다. 메가커피의 진짜 고비는 지금부터다.
- 북한이 붕괴된다면 그 땅은 누구의 땅이 되어야 하나?
- 호날두, 메시보다 재산이 더 많은 세계 1위 부자 축구 선수
- 중국이 APEC에서 한국과 선물 교환한 내용을 일부러 보도안한 이유
- 절친이던 이소라와 이영자가 2008년 이후 지금까지 절교하게 된 사건
- 넷플릭스와 디즈니 작품들 다 이기고 1위한 엄청난 19금 한국 신작 드라마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