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책 ‘경제 살아난다’ VS 유시민 ‘폭군 된다’… 결과는?

2021년 대선 직전, 한 방송 토론에서 보수 논객 전원책과 유시민이 마주 앉았다. 토론은 평소처럼 시작됐다. 전원책은 확신에 찬 목소리로 말했다. “윤석열 후보가 대통령이 되면, 나라가 더 좋아질 겁니다. 새로운 친기업 정책이 나오고, 일자리도 늘겠죠. 경제는 살아날 겁니다.” 그의 말은 단정적이었다. 윤석열의 당선을 경제 회복의 열쇠로 보는 전형적인 낙관론이었다.

그러나 그 순간, 유시민이 차분히 입을 열었다. “그렇게 안 될 겁니다. 오히려 국가의 위험성이 커질 겁니다.” 그는 이어 단호하게 말했다. “되게 똑똑하지 못해요. 기본적으로 국정 감각이 없습니다.” 토론장은 순식간에 싸늘해졌다. 전원책은 당황한 듯 웃으며 반박했다.

“그건 너무 나간 얘기 아닙니까? 헌법을 파괴한다고요? 무슨 독재라도 온다는 겁니까?” 하지만 유시민은 미소조차 짓지 않았다. “네, 그렇게 될 겁니다. 헌법을 모르는 사람이 헌법을 지킬 리 없잖아요.” 그날 유시민은 이 선거의 본질을 이렇게 정의했다. “이번 대선은 헌법을 지킬 것이냐, 아니면 헌법을 파괴할 것이냐의 싸움입니다. 윤석열 후보가 되면 헌법을 파괴할 겁니다.” 당시 그의 발언은 지나친 공격으로 몰렸다.
보수 언론은 ‘유시민, 윤석열 맹비난’이라는 제목으로 자극적인 부분만 잘라냈다. 전원책은 토론 내내 고개를 저으며 “경제는 살아난다”,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고 자신 있게 말했다. 하지만 3년이 지난 지금, 그 장면을 다시 보면 오히려 전원책의 말이 허무하게 들린다. 유시민이 우려했던 ‘국가의 위험성’은 현실이 됐다. 헌법보다 검찰 인맥이 우선된 인사, 야당 탄압 논란, 언론 통제 시도, 권력기관의 집중. 그가 말한 ‘헌법을 파괴할 것이다’라는 문장은, 검찰권 남용과 정치 보복 논란 속에서 현실이 됐다.

그때 전원책이 장밋빛으로 그린 ‘친기업 정책’은 대기업 편향과 중소기업 소외로 바뀌었고, ‘경제 회복’은 물가 폭등과 내수 침체로 뒤집혔다. 정치평론의 언어가 이렇게 오래 살아남은 적은 드물다. 유시민의 발언은 단순한 비난이 아니라 구조적 예측이었다. 그는 개인의 성향보다 시스템의 붕괴를 봤다. 전원책이 웃으며 넘겼던 그 대목이, 지금은 뉴스의 본문이 됐다. “헌법을 지킬 것이냐, 파괴할 것이냐.” 유시민은 이미 그 답을 알고 있었다. 단지, 모두가 듣기 싫었을 뿐이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