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계피 세례’가 존재하는 덴마크

덴마크는 따뜻한 날씨와 좋은 치안 덕에 북유럽에서 ‘여행하기 좋은 나라’로 꼽힙니다.
덴마크 수도인 코펜하겐은 친근하고 동화 같은 분위기와는 다르게 풍부한 역사를 자랑하기도 하죠.
세계 3대 테마파크인 ‘레고 랜드’나 동화의 아버지 안데르센의 고향인 ‘오덴세’ 역시 이색적인 경험을 선사해 줍니다.
그런데 덴마크에 가게 된다면 우리나라와는 다른 문화 때문에 조금 놀랄 수도 있다는데요.
오늘은 덴마크만의 독특한 문화를 소개하려 합니다.
덴마크에는 독특한 풍습이 존재합니다.
25살이 넘도록 결혼하지 못하면 친구와 가족들에게 계피 세례를 받아야 하는 것인데요.
남녀 불문하고 25세 생일이 지날 때까지 미혼이라면 온몸에 계핏가루를 뒤집어써야 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보면 깜짝 놀랄 문화지만 덴마크에선 무려 500년 넘게 이어져 내려온 전통 풍습이죠.
실제로 계피 세례를 받는 사진들을 보면 계핏가루를 뿌리는 이들이나 맞는 이들이나 흥겨운 분위기 속에서 즐기는 듯한 모습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풍습은 과거 16세기 한 향신료 상인에서 유래했습니다.
당시 이 상인은 온 동네를 돌아다니면서 향신료를 판매하느라 여념이 없어 신붓감을 찾지 못했고 그때부터 사람들은 그를 ‘고춧가루 소년’이라 부르기 시작했는데요.
이후 결혼 적령기가 지나도록 결혼하지 못한 사람들에게 계피 세례를 행하며 향신료 상인을 추억하면서 이 같은 풍습이 생겼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덴마크 사회에서 일찍 결혼해야 한다는 압박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덴마크의 평균 결혼 연령은 30대 초반이라고 합니다.
② 한국과 확실히 다른 성 문화

이외에 덴마크에만 존재하는 독특한 문화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덴마크는 ‘성진국’이라 불리는 북유럽 국가들 사이에서도 성에 가장 개방적인 나라로 유명합니다.
다양한 성 상품을 소비하고, 성문화에 자유로운 덴마크에서는 버스나 지하철 전광판에 가슴을 노출한 성형외과 광고가 버젓이 걸려있는 모습도 종종 볼 수 있죠.
또한 15살 정도만 되면 포르노를 보거나 구매하는 게 자유로울 정도인데요.
성교육이나 성을 주제로 진지하고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분위기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성에 대해 억압되어 있고 금기시되는 우리나라의 문화와는 많이 다른 부분이죠.
③ 살인적 물가와 세금

이런 덴마크는 워라밸 지수로도 유명한데요.
최근 포브스의 조사에 따르면 ‘세계에서 워라밸 지수가 가장 높은 도시’로 덴마크의 코펜하겐이 뽑혔습니다.
덴마크 실업률은 다른 유로존 도시들보다 낮은 2.4%를 기록했으며, 덴마크의 기업들은 최장 52주에 달하는 육아 휴직을 보장하기도 합니다.
덴마크 근로자 대다수는 오전 8시에 출근해 오후 3~4시에 퇴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죠.
퇴근 후에는 곧장 가족들과 시간을 보내고, 근무 시간 외 업무 연락은 예의가 아닌 것으로 여긴다고 합니다.
또한 덴마크의 평균 연봉은 약 480,000크로네로 알려져 있는데요.
이는 한국 돈으로 환산하면 약 9,150만으로, 놀라운 수치입니다.
다만 덴마크에 여행 간 이들이 많이 놀라는 점 중 하나는 바로 ‘비싼 물가’입니다.
마트에서 파는 우유, 채소, 고기 같은 식료품은 물론 교통비, 서비스 비용도 우리나라보다 최소 2배는 비싸서 계획 없이 가면 매우 놀란다고 합니다.
유튜버 ‘진짜하늬’ 또한 편의점에서 파는 생수가 2개에 25크로네(약 4,400원)인 것을 보고 비싼 물가에 놀라기도 했습니다.
외식비 또한 매우 비쌉니다. 음식 종류에 따라 편차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한국 돈으로 약 15,000원에서 30,000원 정도라고 합니다.
게다가 공중화장실도 대체로 유료라서 무료 화장실을 따로 외워둬야 할 정도입니다.
택시비 또한 10분에 40,000원 정도. 어마어마한 물가입니다.

덴마크는 월급의 40~60%를 세금으로 지출하는 등 살인적인 세금으로도 유명하죠.
OECD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세금 비율은 덴마크가 약 47%로, 선진국 가운데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했습니다.
하지만 덴마크는 나라에 내는 세금만큼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수준 높은 복지 정책’을 자랑합니다.
양육 보조, 의료, 교육, 보건, 고용, 실업 급여 등 복지와 관련한 사회적 공공서비스가 체계적이며 광범위하죠.
이렇듯 높은 세금에도 불구하고 덴마크 국민들은 만족도가 높은데요.
같은 해 UN 보고서에서 덴마크의 행복 지수는 조사 대상 137개국 중 2위를 차지하기도 했습니다.
세금이 복지혜택이 되어 투명하게 되돌아오리라는 신뢰가 강하기 때문에 높은 세금에 불만을 느끼지 않는 것입니다.





























댓글 많은 뉴스